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myBatis
- 깃
- SpringBoot
- CI
- react 심플캡차
- Security 로그인
- 스프링 시큐리티
- 스프링 시큐리티 로그인
- ChatGPT
- Spring Boot
- 리액트 캡차
- react captcha
- react 상태
- spring security 로그인
- git
- spring error
- REACT
- Spring Security
- react 캡차
- jpa
- Docker
- 리액트 심플캡차
- 스프링
- error
- 젠킨스
- maven
- react 자동입력방지
- build
- react simple captcha
- 에러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enum (1)
I can do it(Feat. DEV)

다른 분의 프로젝트를 서포트 중 접속로그 상태를 저장하는데 enum을 쓰면 좋다고 함. enum? 이게 뭐지? 타입인가..? 궁금해서 갓글 검색. ※ Enum 정의 Enum : 열거형이라고 불리며, 서로 연관된 상수들의 집합을 의미함. 기존 상수를 정의하는 방법인 final static string 과 같이 문자열이나 숫자들을 나타내는 기본자료형의 값을 enum을 이용하면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고 함. 읽어보니 final static string과 같이 상수를 선언하면 잘못된 값이 들어가도 컴파일 시 모르는데 enum을 사용하면 컴파일 시 에러가 떠서 알 수 있다고 함. 그외 코드가 단순해지고, 가독성이 좋다고 함. 등등 ... 나의 상황에 접목시켜 봄. accessLogService.insertLog..
개발자 모드/개념
2022. 9. 23. 1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