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REACT
- ChatGPT
- spring security 로그인
- 스프링 시큐리티 로그인
- Spring Security
- error
- jpa
- myBatis
- maven
- spring error
- Docker
- react 상태
- build
- react simple captcha
- 깃
- 에러
- Security 로그인
- 스프링
- SpringBoot
- CI
- react 심플캡차
- Spring Boot
- 리액트 심플캡차
- git
- 스프링 시큐리티
- react captcha
- 젠킨스
- react 자동입력방지
- 리액트 캡차
- react 캡차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63)
I can do it(Feat. DEV)

개발 초기 단계에서는 profile 설정을 따로 안 하겠지만 개발 환경과 배포 환경이 달라 profile 설정을 해야 할 때!! IntellJ에서는 Spring이라면 메이븐 톰켓 or Spring Boot라면 내장톰켓이 있기에 톰켓에 구동 시 profile을 명시하는 명령어를 입력해주어야 하고 배포 환경(툴을 쓰지 않는 환경)에서는 Tomcat 쪽에 설정을 해주어야 함. 먼저, IntellJ를 사용할 때 설정 방법 알려드리겠음! 1. IntellJ에서 설정 설정방법은 IntellJ를 실행한 다음, 우측 상단에 보시면 이미지와 같은 탭이 있음! 클릭👆 이후 Edit configurations... 를 클릭👆 이런 창이 뜨는데 이 창에서 Modify options > Add VM options를 클릭👆(단축..

🌈서론(바쁘시면 본론부터) 도커 컨테이너를 띄워 WAS 서버를 세팅하고자 함! centos7 버전의 컨테이너를 띄우고 Tomcat 3개를 만들어서 포트 설정까지 완료했음. 그런데 톰켓 서버를 구동시키고 끄고 하는데 하나하나 명령어를 쳐서 진행하니 너무 귀찮고 시간도 더 걸렸음.🤬 그래서 톰켓서버 3개 한 번에 꺼지거나 구동시킬 수 있는 shell 파일을 만들고자 함. 필자는 /was 디렉토리 안에 위와 같이 구성했음. 🔰간단한 설명 - tomcat9-~ : 각각의 톰켓서버 파일 - startup_all.sh : 톰켓 서버를 한 번에 구동시키는 sh 파일 - shutdown_all.sh : 톰켓 서버를 한 번에 종료시키는 sh 파일 startup_all.sh 파일 추가/수정(vi startup_all.sh..

회사에서 선임이 알려준 대로 docker compose를 사용하는데 배치파일을 작성해 배치파일을 실행함으로써 한 번에 도커 컨테이너를 삭제하고 다시 만드는 Awesome 한 광경을 본 뒤 필자는 배치 파일을 궁금해하지 않을 수 없었음. 그래서 갓글에 바로 검색👍 🔔배치파일이란?? - Windows 운영 체제에서 사용되는 스크립트 파일로 일련의 명령어를 포함하며, 일련의 작업을 자동화하거나 여러 명령어를 한꺼번에 실행하는 데 사용됨 - 일반적으로 ".bat" or ".cmd" 확장자를 가지며, 텍스트 파일 형식으로 작성됨 - 배치 파일은 보통 자주 반복되는 작업을 자동화하는 데 사용하며, 특정 작업을 주기적으로 실행해야 하는 경우 배치파일을 작성해 작업을 예약할 수 있고, 여러 명령어를 한 배치 파일에 작..

이번에 Spring Boot + React + Gradle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었음. 설명이 잘 되어 있는 블로그를 참고해서 초기 세팅을 하는데 React 정적 파일들 설정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몰라서 찾아보며 정리함. ※ Spring Boot + React 프로젝트 정적 파일 관련 설정 방법 React와 Spring Boot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React에서 빌드된 정적 파일들을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배포할 때, 일반적으로 Spring Boot의 정적 파일(Static files) 디렉토리에 위치시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보통 React 프로젝트는 빌드를 진행하면, build 디렉토리에 빌드된 정적 파일들이 생성됩니다. 이후 Spring Boot 프로젝트의 정적 파일 디렉토리(..

Spring Boot + React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초기 세팅을 끝내서 GitLab(필자의 원격저장소)에 push 진행. ※문제 상황 1. react 파일 경로인 /app 경로의 파일만 git에 add가 안됨. 혹시 몰라서 .gitignore 파일에 찾아봐도 해당사항 없음. 애초에 .gitignore 파일에 있으면 아예 제외되야 하는데 git status를 치면 /app 경로를 관리는 하고 있음. 2. submodule을 추가하라는 git 관련 hint 메세지가 나옴. 3. 원격 저장소에 가면 폴더는 올라갔는데 파일 접근이 안됨. 이유를 몰라서 갓글에 검색해 보니 하위 폴더인 app 경로 안에 .git 파일이 있어서 문제가 됐던 것! 🔔해결방법 1. 하위 폴더안에 .git 폴더 삭제처리 - 필자의 ..

웹 개발을 하다보면 쿠키와 세션을 자주 마주치게 되는데 매번 마주칠때마다 트루리셋이 되는 것 같아 이번엔 정리하면서 이해 & 머리에 주입시켜볼려고 함. 쿠키(Cookie)와 세션(Session)은 모두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저장 방식임. 1. 쿠키(Cookie)란? -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나 기타 정보를 브라우저에 저장하는 작은 데이터 파일 - 브라우저의 쿠키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key-value 쌍으로, 서버로 전송되어 처리됨. -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보완적인 측면에서 주의해야함(민감한 정보 저장은 피하고 쿠키를 암호화해서 처리하는게 좋음) - 쿠키는 만료일이 지나면 자동으로 삭제가 되고, 만료일을 설정하지 않으면 브라우저가 종료될 때까지 쿠키가 유지됨. - 웹 개발에..

react로 만든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문득 든 의문점 package.json, package-lock.json 파일을 깃랩에 올려서 관리해야할까?? 그래서 어렴풋이 알고있는 저 파일들이 무슨일을 하는지 알아봄. ※ package.json 이란? - npm(or yarn) init 을 하면 생성되는 파일로써, npm 패키지들에 대한 정보(name, version 등)들이 적혀있는 json 형태의 파일임. - 필수적으로 name이나 version에 대한 정보가 명시되어야하며 이 정보가 없으면 패키지를 설치할 수 없음. - npm install을 사용하여 package.json 에 명시된 의존성 패키지들을 node_modules 폴더에 설치해줌. ※ package-lock.json 이란? - 생성된 no..

필자의 경우 서버 환경을 구성할 때 보통 Web Server를 거쳐서 외부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받지만 외부 서버와 직접 통신을 해야할 경우가 생김. 하지만 방화벽이 막혀있어서 통신이 안됨. 물론 이런 경우 개인이면 방화벽을 열어서 처리 할 수 있지만 대부분 개인이 아니기에 보안상 함부로 설정을 변경할 수 없음. 그래서 Proxy 서버를 Web Server 처럼 중간에 두고 외부 서버와 통신하는 방법을 사용함. 그럼 이제 Proxy 서버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 Proxy 서버란 - Proxy란 사전적 의미로 "대리"이며, 빠른 액세스나 안전한 통신등을 확보하기 위한 중계서버를 일컫음. - 보통의 경우 클라이언트와 Web서버의 중간에 위치하거나 필자의 경우처럼 서버와 서버 사이에 위치하여, 대신 ..